katacoda란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고, 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쿠버네티스는 선언적 구성과 자동화를 모두 용이하게 해준다. 쿠버네티스는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쿠버네티스 서비스, 기술 지원 및 도구는 어디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란 명칭은 키잡이(helmsman)나 파일럿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K8s라는 표기는 "K"와 "s"와 그 사이에 있는 8글자를 나타내는 약식 표기이다. 구글이 2014년에 쿠버네티스 프로젝트를 오픈소스화했다. 쿠버네티스는 프로덕션 워크로드를 대규모로 운영하는 15년 이상의 구글 경험과 커뮤니티의 최고의 아이디어와 적용 사례가 결합되어 있다

 

minikube란

 

 

katacoda 접속 및 실습

하나의 node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실행하는 실습입니다.

 

katacoda 접속

아래 ULR(katacoda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계정이 있을 경우 기존 계정을 사용하고 계정이 없을 경우 신규 계정을 생성하여 로그인합니다.

https://www.katacoda.com/ 

 

Katacoda - Interactive Learning Platform for Software Engineers

Learn the latest technologies with our hands-on labs

www.katacoda.com

로그인 후 첫 페이지에서 "Kubernetes Introduction" 강의의 시작하기 위해 [Start Course]를 클릭합니다.

20여개의 시나리오들이 있습니다.

"Launch A Single Node Cluster" 시나리오부터 시작합니다. "Start Scenario"를 클릭합니다.

"Minikube는 Kubernetes를 로컬에서 쉽게 실행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Minikube는 Kubernetes를 사용해 보거나 일상적으로 개발하려는 사용자를 위해 노트북의 VM 내에서 단일 노드 Kubernetes 클러스터를 실행합니다." 라는 설명이 나오면 "Start Scenario"를 클릭합니다.

 

실습

Step 1 - minikube 시작하기

좌측 화면의 설명을 읽으면서 실습을 진행합니다. Step1은 minikube로 kubernetes cluster를 구성하는 실습입니다.

실습할 때 좌측의 명령어를 클릭하면 우측 터미널창에 명령어가 자동으로 수행됩니다.

또는 우측 터미널창에 직접 타입핑하여 명령어를 입력하고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실습을 완료하였으면 [CONTINUE] 버튼을 클릭합니다.

 

Step 2 - Cluster Info

Kubernetes 클러스터는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 위에서 실행되는 Kubernetes 및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step 2에서는 kubectl 명령어로 클러스터 정보와 노드 정보를 확인해 봅니다. master node 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tep 3 - Deploy Containers

kubectl create 명령어로 클러스터에 컨테이너가 배포될수 있도록

kubectl create 는 파일 또는 표준 입력으로부터 리소스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참고]

  • kubectl create : 파일 또는 표준 입력으로부터 리소스를 생성
  • kubectl apply : 파일명 또는 표준 입력으로 리소스에 구성 적용
  • kubectl run : 클러스터에서 특정 이미지 실행

kubectl run 과 kubectl create 차이는?

 

 

Step 4 - Dashboard

 

dashboard를 활성화합니다.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NI 플러그인 모드  (0) 2022.05.04
쿠버네티스 - 로드 밸런싱  (0) 2022.04.27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0) 2022.04.25
GCP - Kubernetes Engine(GKE)  (0) 2022.03.22
minikube  (0) 2022.0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