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E 란

GKE(Google Kubernetes Engine)는 Google 인프라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관리 및 확장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입니다. Kubernetes Engine 환경은 컨테이너 클러스터를 구성하도록 그룹화된 여러 머신( Compute Engine 인스턴스)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GKE(Google Kubernetes Engine) 클러스터는 Kubernetes 오픈소스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합니다.

 

GKE 클러스터 생성하기

1. Autopilot 모드의 클러스터 생성

구글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 "클러스터" 메뉴를 클릭한 후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GKE Standard와 GKE Autopilot 모드가 나타나는데 원하는 클러스터 모드를 선택합니다.

본 문서에서는 Autopilot 모드와 Standard 모드를 설명합니다.

먼저 Autopilot 모드의 클러스터 생성하기 입니다.

 

Standard 모드 VS Autopilot 모드 비교

클러스터 만들기 화면의 우측 상단에 "비교"를 클릭하면 두 모드를 비교한 화면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Standard 모드는 클러스터를 사용자가 직접 관리해야 합니다.

Autopilot 모드는 클러스터 관리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비용 이점도 큽니다. 

 

Autopilot 클러스터 만들기

클러스터 이름과 리전을 지정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Autopilot 클러스터를 생성합니다.

아래는 autopilot 클러스터가 생성된 화면입니다. 노드수와 총vCPU, 총메모리를 보면 값이 없거나 0인데 이는 아직 실행되는 pod가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standard 모드의 클러스터는 실행하는 pod가 없어도 노드가 생성됩니다.

(참고) standard mode 클러스터 : 노드수와 총vCPU, 총메모리를 보면 값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어플리케이션 배포

nginx 배포 테스트를 하기 위해 아래 내용들을 수행합니다.

 

작업부하

Kubernetes Engine 하위의 "작업 부하" 메뉴를 클릭한 후 [배포]를 클릭합니다.

 

아래 화면이 나오면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화면에서 [배포]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전에 생성한 클러스터에 배포를 진행합니다. 클러스터 항목에 이전에 생성한 클러스터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아래와 같이 3개의 pod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 [노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화면이 나타나면 "포트1"에 서비스 포트 입력, "대상포트1"에는 컨테이너의 포트입니다. 쉽게 말해 "포트1"은 node의 포트이고 "대상포트1"은 컨테이너의 포트로 생각하면 됩니다.

생성된 로드밸런서를 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및 수신" 메뉴를 클릭하면 엔트포인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생성된 부하분산기(로드 밸런서) 정보입니다.

아래는 서비스 및 수신" 메뉴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화면입니다.

 

위에서 확인한 엔트포인트를 브라우저로 접속하면 nginx 초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 node와 pod **

 

 

2. Standard 클러스터 만들기

Kubernetes Engine 의 "클러스터" 메뉴를 클릭한 후 나타난 화면에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Standard와 Autopilot 모드가 나타나는데 원하는 클러스터 모드를 선택합니다.

Standard 모드로 클러스터를 만들기 위해 "GKE Standard"의 [구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러스터 이름과 리전을 지정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Standard 클러스터를 생성합니다.

클러스터가 생성되면 아래 화면과 같이 노드수와 총vCPU, 총메모리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ginx 배포 테스트를 하기 위해 아래 내용들을 수행합니다.

 

작업부하

클러스터 화면의 상단에 [배포]를 클릭하거나 Kubernetes Engine 하위의 "작업 부하" 메뉴를 클릭한 후 [배포]를 클릭합니다.

아래 화면이 나타나면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의 컨테이너 구성화면에서 클러스트 항목에서 위에서 생성한 standard 클러스터(standard-cluster-1)를 선택합니다. 

[배포]를 클릭합니다.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 [노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화면이 나타나면 "포트1"에 서비스 포트 입력, "대상포트1"에는 컨테이너의 포트를 입력합니다. 쉽게 말해 "포트1"은 node의 포트이고 "대상포트1"은 컨테이너의 포트로 생각하면 됩니다. 서비스유형은 "부하분산기"를 선택합니다.

생성된 로드밸런서를 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및 수신" 메뉴를 클릭하면 엔트포인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생성된 부하분산기(로드 밸런서) 정보입니다.

아래는 서비스 및 수신" 메뉴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화면입니다.

위에서 확인한 엔트포인트를 브라우저로 접속하면 nginx 초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 katacoda  (0) 2022.04.26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0) 2022.04.25
minikube  (0) 2022.02.21
구글 쿠버네티스 엔진  (0) 2022.02.17
쿠버네티스 Pod 란  (0) 2022.02.17

+ Recent posts